커리큘럼

Undergraduate Architectural Engineering

건축공학전공은 설게된 도면을 건축현장에서 실제로 구현하는 응용학문으로서 현재, 4년제 교육과정으로 운영하고 있다. 교과목은 건축구조, 건축재료 및 시공, 건축환경 및 설비로 구성되어 실무현장에서의 공학기술자로서 자질을 확보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으며 건축현장에서 지휘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는 전문인을 양성하고자 한다.

Degree Program

건축공학전공은 설게된 도면을 건축현장에서 실제로 구현하는 응용학문으로서 현재, 4년제 교육과정으로 운영하고 있다. 교과목은 건축구조, 건축재료 및 시공, 건축환경 및 설비로 구성되어 실무현장에서의 공학기술자로서 자질을 확보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으며 건축현장에서 지휘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는 전문인을 양성하고자 한다. 또한, 대학교육협의회 건축(공)학분야 평가에서 최우수대학(전국4개대학) 및 중앙일보 건축(공)학과 평가에서 전국2위를 차지하였으며, 2003년부터는 싱가폴국립대학과 International Joint Lecture를 통해 3학년 20명이 싱가폴에서 1학기동안 영어교육을 받는 등 국제화를 추진하고 있다.

 

진로 : 건축시공/자재회사, 구조설계사무소, 환경/설비 회사, 연구소, 공무원, 유학, 교수 등

학 위 전 공 수업연한 학 위 명
학 사 건축공학 4년 Bachelor of Architecture Engineering
석 사 건축공학 2년 Master of Architecture Engineering
박 사 건축공학 4년 Doctor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Curriculum
커리큘럼-건축공학
International Double Degree Program
Link to International Program
Accreditation (ABEEK)

인증의 목적은 세계무대에서 활동할 수 있는 자질을 갖춘 엔지니어의 양성에 있다.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 국가 경쟁력은 곧 산업기술의 경쟁력에 영향을 받는다. 이를 위하여 공학 교육이 강화되어 창의성과 종합해결능력을 갖춘 양질의 엔지니어 배출이 요구된다. 또한 산업시장과 인력시장의 세계화에 대응하기 위해 국제수준의 공학교육과 합리적, 객관적, 수리적 사고에 기반한 공학적 사고의 확산이 산업체에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산업체와 국가 과학기술 정책부서의 지원 및 민간주도의 질적 평가에 근거한 “순환적 자율 개선형 공학교육 모델” 이 인증을 통하여 개발되고 있다.

 

교육목표 및 수행준거

-건축 제 분야의 다양한 지식을 갖춘 건축 교양인 실현

-디자인에 기반한 스마트 공학 전문인 실현

-전문지식의 현장적용능력을 갖춘 건축실용인 실현

-국제사회에서 이론적 실무적 경쟁력을 갖춘 세계인 실현

-자신의 능력을 사회에 환원하는 근면 정직한 봉사인 실현

 

학습성과 및 수행준거

1) 수학, 기초과학, 공학지식 및 정보기술을 공학문제 해결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종합적인 사고과정을 진술하고, 고차원적인 정보 기술의 설계 및 구현능력을 문제해결과정에 적용할 수 있다.

2) 공학 관련 이론과 원칙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여 실험의 변수 및 제약점을 고려한 실험을 계획 및 수행할 수 있다.

3) 현실적 제한조건을 이해하고 있으며, 제한조건을 반영한 설계를 할 수 있다.

4) 공학 문제들을 제시할 수 있고, 관련 지식과 이론을 토대로 문제를 공식화하고 해결과정을 기술 할 수 있다.

5) 공학 분야의 최신기술 동향을 중요한 최신 공학도구 활용 능력을 갖추어 이를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증명할 수 있다.

6) 복합 학제적 팀의 구성원으로서 참여하여 목표달성을 위해 많은 기여를 할 수 있다.

7) 공학적 전문지식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습득하고 있다.

8) 자기계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자기계발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의지를 가지고 있다.

9) 공학 문제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거시적 관점으로 문제해결방안을 표현할 수 있다.

10) 현대사회에서 경쟁력을 갖춘 사회인으로 살아가기 위한 전공 이외의 상식과 다양한 이슈에 대한 통찰력을 기술할 수 있다.

11) 공학인으로서 공학윤리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윤리적, 도덕적 책임에 대한 윤리 선언을 기술 할 수 있다.

12) 세계화 시대에 다국적 기업에 종사할 수 있는 세계적 공학인 으로서 타 문화를 이해하고 협동하기 위한 외국어능력을 갖추고 있다.

 
사이트맵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