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RACH

병원 건축 연구실 Hospital Architecture Laboratory (Professor Naewon Yang) 병원건축연구실 (양내원 교수)

LAB HOMEPAGE
Lab Introduction

Hospital Architecture Laboratory’s main area of research is suggestion about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medical and welfare facilities through the architectural design and planning of national and public healthcare facilities, And we research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elderly medical facilities with developing the design techniques, We also suggest about the strategies of remodeling plan of the medical facilities with design techniques.

 

병원건축 연구실의 주요 연구분야는 국,공립 의료시설의 설계 및 건축계획을 통한 의료복지시설의 발전 방향 제시, 노인 의료시설의 환경개선방안 연구 및 설계기법 개발, 의료 시설 리모델링 전략방안 및 설계기법 개발이다.

1993년 3월 개설하여 현재까지 의료시설과 관련되 27건의 건축설계 수행, 25건의 학술연구 수행, 학술연구논문 57편, 학술발표 28회 등을 수행하였으며 병원건축계획 분야 박사 3명, 석사 31명을 배출하였다.

Education

Undergraduate : Architecture Design, Healing Environment planning

Graduate : Hospital Architecture Design planning

 

학부 : 건축설계, 치유환경 계획론

대학원 : 병원건축 계획론

연구분야 주요연구내용/연구결과
Hospital Architecture Design & Planning -Site analysis and collection healthcare Facilities data about project
-Understanding present situation and comparing/understanding recent hospital
-Suggestion architecture direction and basic plan of hospital
-프로젝트와 관련 한 대지분석 및 공공의료시설에 대한 자료수집
-상황파악 및 최근 건립된 병원과 비교/분석
-최근 병원 경향을 위한 기초 연구
-병원 건축의 건축방향 제안 및 기본 설계안 제시
Hospital Architecture Remodeling Planning -Modernization of hospital architecture : improvement of medical service environment, introduction of recent hospital architecture, image recreation
-Susstainable planning : preparation about internal changes and extension
-Establishment master plan after remodeling
-병원 건축의 현대화 : 의료서비스 환경 개선, 시설의 현대화, 최신 병원의 개념 도입, 이미지 재창출
-리모델링 후 공간변화의 특징에 관한 연구
-지속 가능한 계획 : 내부변화에 대한 대비, 향후 증축을 위한 대비
-리모델링 후 마스터플랜 수립
Healing Environment -Concept and definition of healing environment
-Hospital focusing patients, space helping patient of healing, construction natural/social healing space
-치유환경의 개념 및 정의
-환자중심 병원, 환자의 치유를 돕는 공간, 자연적/사회적 치유공간 구성

공간분석연구실 Space Analysis Laboratory (Professor Yongseung Kim) 공간분석연구실 (김용승 교수)

LAB HOMEPAGE
Lab Introduction

“Architectural Space Analysis Laboratory” members have been making effort recently in a sense that architecture and its space has inseparable relation with the city. And this mind and concept deliver us to the final stages that architecture entirely embraces the human activities and communications with high spatial qualities.

 

본 연구실은 공간을 통하여 건축과 도시를 창조하며, 이를 분석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작업의 최종목표는 건축과 도시가 인간의 삶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행위들을 잘 담아 낼 수 있는 공간을 갖게 하는 것이다.

Education

, , 본 연구실과 연관된 교과목은 <건축과 사회>, <건축설계7>, <건축설계8>이다.

FIELDS RESEARCH TOPICS / 연구주제
Research on Urban Public space and Openspace
도시공공공간공개 공지연구용역
-Basic Guidelines for Public spaces and Open spaces in Urban Design
-Problems seeking through the analysis on the locational condition
-To draw and implication through benchmarking some advanced cases
-To study on improving the quality of each type of urban spaces
-To set up design guideline with management plan

-도시디자인을 위한 공공공간, 공개공지 기본방향 및 목표 설정
-입지여건 분석을 통한 문제점 제시
-우수사례 벤치마킹을 통한 시사점 도출
-유형별 개선방안 연구
-디자인 지침과 관리방안 수립
Research on Public Facilities And Cultural Facilities
공공시설 및 문화시설 연구용역
- To figure out the present locational condition
- To examine the fundamental requirement for constrution
- To analyze on feasibility of construction
- The preliminary Design
-To set up space program with space diagram following the function
-Basic Design : plan, elevation, section and so on
-To set up design guidelines with management and operation strategies

-현황 및 부지여건 파악
-건립 기본요건 검토
-건립 타당성 분석
-건축 기본 계획
- 공간 프로그램 작성, 기능에 따른 공간 다이어그램 검토
-평면,입면,단면, 계획
-건축지침 및 관리,운영 계획 수립
Museums And Exhibition Building Design Samples
박물관 및 전시시설 설계작품
-The obaek jangoon Gallery in Jeju Stone park (2010)
-Young Kwang Sunset Museum (2009)
-Gyemjae Museum (2009)
-Kids Complex in Song-pa-gu (2008)
-Busan Junghwan Museum (2007)
-Heo-jun Museum &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2005)

-제주 돌 문화공원 오백장군 갤러리 (2010
-영광 노을전시관 (2009)
-겸재 기념관 (2009)
-서울 송파구 어린이전용시설 현상설계 당선 (2008)
-부산 정관박물관 (2007)
-허준 박물관 및 한의학 연구소 (2005)

근대 건축·도시사 연구실 Architecture and Urban History Laboratory (Professor Inha Jung) 건축도시역사연구실 (정인하 교수)

LAB HOMEPAGE
Lab Introduction

This laboratory was established in 1997. and has provided many brilliant students with Master’s and Doctor’s degree. Also this lab in the present has 4 members (Mina Kim, YooKyung Kim, WoonJin Um, YoonSun Jang) in the doctor’s course, and 1 member in the master’s course (JungHee Yoon).

 

1997년 개설된 이후 다수의 석·박사 졸업생을 배출했으며, 현재 박사과정 4명 (김민아, 김유경, 엄운진, 장윤선), 석사과정 1명 (윥ㅇ희) 등 모두 5명의 대학원 학생들로 구성되어 있다.

Education

This laboratory is offering , , for Undergraduate students, and , , for Graduate students.

 

본 연구실과 연관된 교과목으로 학부과정은 <서양건축사>, <근대건축사>, <현대건축이론>이고, 대학원 과정은 <한국 근현대 건축사>, <건축미학과 비평>, <동아시아 근현대 건축사>이다.

FIELDS PUBLISHED BOOKS
History of Korean Modern Architecture
한국 근현대 건축사
-김수근 건축론 (2000, 시공문화사)
-김중업 건축론 (2003, 시공문화사)
-이희태 건축론 (2003, 시공문화사)
-Exploring Tectonic Space (2009, Wasmuth, Germany)
-Architecture and Urbanism in Modern Korea (2013, Unibof Hawaii Pr, US)
Architectural Theory
건축이론
-형태로부터 장소로, 정인하, 여동진 공역 (2002, 시공문화사)
-현대건축과 비표상 (2006, 아카넷)
-건축도시조경의 지식지형 , 정인하외5인공저 (2011, 나무도시)
East Asia Cities & Architecture
동아시아 건축 및 도시
-A Singular Feature of East Asia’s Architecture and Urbanism as Manifested in the Modernization (2010.11.SPACE MAGAZINE)

도시건축 설계 연구실 도시건축 설계 연구실 (임지택 교수)

LAB HOMEPAGE

건축설계연구실Architectural Design Lab at Hanyang University (Professor Abraham Chiwon Ahn) 건축설계 연구실 (안치원 교수)

LAB HOMEPAGE
Lab Introduction

AD Lab is an architectural design lab at Hanyang University in Korea. AD Lab focuses on creativity within the field of architecture as well as collaboration between multiple disciplines.

 

2012년 개설된 건축 디자인과 계획에 관련 연구를 하고 있는 한양대학교 건축학부의 연구실입니다. 주 연구과제는 디지털 건축, 건축정보모델링, 그리고 친환경 건축디자인입니다. 현재 석사과정 1명, 학사과정 3명 등 모두 4명의 학생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Education

Courses related to this lab includes architectural drafing, intorduction to architectural design, architectural design 1,2,3,4

 

본 연구실과 관련된 교과목은 건축제도, 건축 기본설계, 건축설계1, 건축설계2, 건축설계3, 그리고 건축설계가 있습니다.

FIELDS RESEARCH TOPICS / 연구주제
Digital Design -AD Lab is researching on various digital mediums that are being implmented in architectural design. We are also interested in Biomimicry and adaptation as an architectural design element.
-디지털 건축설계 관련된 연구를 수행합니다.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D Lab is researching on BIM (Buiding Information Modeling) and Its implementation in architectural design. We are prime paticipant in BIM-CERIC (BIM Research and Education Center at Hanyang University)
-건축정보모델링에 건축설게에 관련된 연구를 수행합니다.
Sustainable Design -AD Lab specializes in sustainable design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친환경 건축설계에 관련된 연구를 수행합니다.
Research Laboratory Design -AD Lab is interested in planning and designing of research laboratory building such as biotech, pharmaceutical, medical, and R&D Facilities.
-연구소시설 계획과 설계를 연구, 설계합니다.

건축형태분석연구실Architectural Geometry Analysis Laboratory (Professor Kangjun Lee) 건축형태분석 연구실 (이강준 교수)

LAB HOMEPAGE
Lab Introduction

2013년 개설된 신생연구실로 건축 형태 (Geometry)에 관한 기본적 관심을 바탕으로 CAD(Computer Aided Design) 프로그램들과 Advanced Digital Fabrication Toll들을 이용하여 형태를 그리고 제작하여 실제 건축에의 적용을 실험하는 곳이다.

Education

본 연구실과 연관된 교과목은 학부과정은 <건축제도>, <건축기본설계>, <건축설계1,2,3,4,5,6,7,8>, <건축CAD>, <건축설계론>등이 있다.

FIELDS RESEARCH TOPICS / 연구주제
Architectural History and Theory in Digital era
디지털 건축연사이론
-History and Theory of Architectural Diagram
-History and Theory of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Architectural Geometry Analysis based on athematics
-Algorithmic Architecture
-Elements of Parametric Design
-건축 다이어그램의 역사이론 연구
-건축 디자인 프로세스의 역사이론 연구
-수학을 바탕으로 한 건축형태 분석연구
-알고리즘 건축
-Parametric 디자인의 요소들
Digital Modeling and Advanced Fabrication
디지털 모델링과 첨단 제작법
-Surface Modeling and Folding Fabrication
-Texture Modulation And Laser cut Fabrication
-Volumetric Object Fabrication with 3D Printer and CNC Machine
-Component Based Design
-Surface 모델링과 Folding을 이용한 제작법
-텍스처 디자인과 레이저 컷을 이용한 제작법
-3D프린터와 CNC머신을 이용한 제작법
-Component 중심의 디자인
Architectural Procurement Route Research
건축 프로젝트 수행 방법 연구
-Relationship between Procurement Routes and Cose, Quality and Time of Architectural Project
-Construction Contract
-Comparison of Procurement Route between UK and South Korea.
-건축 프로젝트의 수행방법과 건축의 가격, 질, 시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건축 프로젝트의 계약관련 연구
-한국과 영국의 건축 프로젝트의 수행방법 비교 연구

 

 

 

도시설계정보연구실 Urban Design Informatics Laboratory (UDIL) (김환용 교수) 

Lab Introduction

UDIL is a specialized research environment focusing on urban and regional design, planning, data management and other city scale issues. The lab provides an interdisciplinary research environment to resolve complicate urban problems with an emphasis on empirical evidences, data analysis, visualization, and design implementations.

 

도시설계정보연구실은 최근 복잡해지고 있는 다양한 도시문제를 실증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도시설계/도시계획 과정에서 보다 효과적인 의사결정 내릴 수 있는 다학제적 연구 환경을 지향한다. 도시가 갖고 있는 다양성과 불확실성에 보다 합리적이고 구체적인 디자인 프로세스를 제공하기 위해 데이터 분석, 통계학적 접근, 정보시스템 활용, 도시경영 및 관리 등과 같은 방법론적 측면을 실제 프로젝트와 연계하는 교육 및 연구 환경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Education

Providing courses are “Urban Design Studio”, “Introduction to Urban Design”, “Site Planning”, and other urban and regional subjects.

본 연구실과 연관된 교과목은 학부과정은 <건축제도>, <건축기본설계>, <건축설계1,2,3,4,5,6,7,8>, <건축CAD>, <건축설계론>등이 있다.

 

Research Fields

Research Topics

Urban Design & Planning

Masterplan for new developments

Feasibility study and benefit-cost analysis

Urban regeneration and revitalization

도시개발사업 마스터플랜 및 개발계획 작성

도시사업 편익분석 및 사업타당성 분석

도시재생 및 공간활성화 계획 등

Smart City

Smart city framework and implementation

Smart city test-bed planning and solution application

스마트도시 활성화계획 및 실행전략 수립

스마트도시 테스트베드 구축 및 도시솔루션 구축 등

Information Systems

(Big) data analysis and spatial statistic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 &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Drones with 3D mapping and satellite image analysis

빅데이터 및 공간통계 분석

지리정보시스템과 빌딩정보모델링

드론을 활용한 3차원 맵핑과 위성사진 판독 등

Urban Managements

Green infrastructure and environmental planning

Behavior analysis (urban gentrification and others)

Urban heat island effect and sustainable architecture

녹색인프라스트럭쳐를 활용한 도시환경계획

거주민 행태분석을 통한 도시변화예측 (젠트리피게이션 등)

도시열섬효과 분석과 친환경 건축물 효용성 분석 등

Overseas Development Aids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relations

Collaboration with Asian universities

국제개발 및 국제교류

아시아 대학들과 협업 및 도시분야 공동교육


 

 

 

 
사이트맵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