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lcome to the laboratory of structural mechanics (SML). founded in 2003. SML undertakes the education for the students in the field of structural mechanics and analysis by means of the analytical and the numerical methods based on mathematical theories, SML. also performs various projects related to durability, safety and damage assessment of architectural and engineering structures, including shell and spatial structures, for this purpose not only commercial software. but a lab-developed FE-software is employed. In addition, by working in collaboration with industry, new construction technologies which are directly applicable to the construction site are being developed.
구조역학 연구실은 2003년 3월 노삼영 교수의 부임과 함께 출범하였다.
본 연구실은 수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한 수치 해석을 이용하여 구조해석 및 역학분야의 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구조물의 해석을 위한 역학적 이론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전산 해석 소프트웨어 개발과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실제적 거동을 연구함으로 새로운 역학 이론을 개발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또한 산업체와 공동으로 협력하여 신 공법, 신기술개발 등 건설 현장에 직접적으로 적용 가능한 실질적인 건설기술 개발에도 많은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The laboratory is charged with
본 연구실은 학부과정의 <구조해석 1>, <구조해석 2>, <구조해석 3>와, 대학원 과정의 <유한 요소법>, <응용역학>, <평판 및 쉘 구조특론> 수업을 담당하고 있다.
FIELDS | RESEARCH TOPICS / 연구주제 |
---|---|
Damage assessment of structures 구조물 손상 추정 | -Development of damage analysis methods -Development of global damage indicator using shifting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structure -Reinforcing method of structures using damage assessment -Evaluation of geometrical parameters of hyperbolic shell for natural draught cooling towers in nuclear power plants -손상해석 기술 개발 -구조물의 동 특성을 이용한 전체적 손상 지수 개발 -손상추정에 의한 구조물의 보강방법 -손상추정에 의한 원자력 발전소 습식 냉각탑의 기하형상 평가 |
Numerical modeling for structural material 구조 재료 수치모델링 | -Hypo-elastic orthotropic concrete model -Tension stiffening model under consideration of cyclic behavior of bond-slip model between rebar and concrete -Bond-slip model between untensioned wire strand and concrete -Rotating concrete crack model -차탄성 직방성 콘크리트 모델 -반복 부착-슬립모델을 고려한 철근의 인증증강효과 모델 -강연선의 부착-슬립모델 -콘크리트 균열 모델 |
Development of new construction technology 신 공법 기술 개발 | -PC beam-column system using untensioned wire strands -Construction method for permanent basement wall improving CIP-temporary wall -PC-Construction technology for cost reduction -Construction method for reinforcement of steel pile head -접합부일체형 프리캐스트 석골조 시스템 개발 -흙막이 가설벽을 활용한 지하 영구벽체 공법개발 -원가 절감형 PC 신 공법 -강관 말뚝 두부보강공법 |
SBMCL was established at Erica campus, Hanyang University in 2003. SBMCL studies the development of advanced building materials and the application of construction method in the construction field mainly. As of 2013, 13 mater students and 8 doctor students are at school
본 연구실은 한양대학교 ERICA 캠퍼스에서 2003년에 개설되었으며, 최첨단 건축재료 및 건축공법의 개발과 이를 현장적용 연구를 주로 수행하고 있다. 현재 석사과정 13명, 박사과정 8명의 대학원생이 재학 중이다.
Under graduate : Building materials, Experiment for Building Materials, Materials & construction method
Graduate : Advanced Building Materials, Advanced Concrete Engineering, science of Building Materials
학부 : 건축재료, 건축구조재료실험, 재료와 구법
대학원 : 건축재료 특론, 콘크리트공학, 건축재료과학
FIELDS | RESEARCH TOPICS / 연구주제 |
---|---|
Building Materials 건축재료 개발 |
-Advanced concrete materials -6T Convergence building materials -High performance building materials -Evaluation of building materials performance -첨단 콘크리트 재료 개발 -6T 기술 융합 건축재료 개발 -고성능 건축재료 개발 -건축재료의 성능 평가 |
Durability of
Building Materials 건축재료 내구성 평가 시스템 |
-Evaluation of durablilty for building materials -Building materials for long life structure -Durability design system for structure -Development of model for building materials -Rehabilitation of structure, Remodeling -Analysis technology for building materials (FEM, FDM etc.) -건축재료 내구성 평가 -장수명 건축재료 개발 -내구성 설계 시스템 개발 -건축재료, 내구성 모델 개발 등 -구조물 보수/보강, 리모델링 -건축재료 해석 기술 개발 (FEM, FDM) |
Sustainable building
materials 지속가능 건축재료 개발 |
-CO2 reduction building materials -Environment activity building materials -High durability of building materials -Evaluation technique for Life cycle cost -CO2 저감 건축재료 개발 -환경활성 건축재료 개발 -장수명 건축재료 개발 -건축재료 LCC 평가 기술 개발 |
In the Reinforced Concrete Seismic Engineering Lab., researches regarding seismic evaluation methodologis and their systems, seismic repair and strengthening techniques, structural test systems, structural optimal designs etc. are variously and successfully carried out, especially focused on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Currently the RCSEL have many outworks of researches above including publications, guidelines, and analysis programs.
철근콘크리트 내진구조공학 연구실에서는 내진성능평가, 보수/보강기술, 구조실험시스템, 구조최적설계 등에 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으며, 특히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현재 연구실에서는 다양한 연구실적, 지침 그리고 해석프로그램 등을 보유하고 있다.
Undergraduate program : General Building Structure, Reinforced Concrete Design I, Reinforced Concrete Design II, Computational Structural Analysis of Architecture
graduate program : Advanced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Earthquake Engineering ,Optimum Structural Engineering
학부 : 일반구조, 철근콘크리트구조설계 1, 철근콘크리트구조설계 2, 전산구조해석
대학원 : RC구조특론, 내진공학, 구조최적설계
FIELD | RESEARCH TOPICS / 연구주제 |
---|---|
Development of Seismic capacity evaluation method R/C건물의 내진성능평가방법 개발 및 구조실험 |
-Guideline of Seismic Capacity Evaluation of Existing School Buildings,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Cyclic Test of Reinforced Concrete Frame -Pseudo-Dynamic Test of 1/2-story Reinforced Concrete Frame, etc -학교시설물 내진성능평가 가이드라인, 교육부, 대한민국 -R/C건물, 부재 성능검증을 위한 반복가력실험 -1,2층 R/C 골조의 내진성능검증을 위한 유사동적실험 |
Development of repair/strengthening methods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내진 보수/보강 공법 개발 |
-The seismic strengthening technique using Sprayed FRP -The seismic strengthening method using Carbon Fiber Composite Cable, CFCC -The Seismic strengthening method using Toggle system. etc -Sprayed FRP를 이용한 내진보강기술 -CFCC를 이용한 내진보강공법 -토글 시스템을 이용한 내진보강공법, 등 |
Hanyang University, Sustainable Building Evaluation Special Technology Laboratory (suBest Lab.) was founded in 2008. Currently the suBest Lab where there are three doctor’s course members and four master’s course members also. The research fields are construction materials and building environmental load reduction/assessment technology and optimal design system technology development.
한양대학교 친환경 건축 성능평가 첨단 기술 연구실(suBest Lab.)은 2008년에 개설되었으며, 현재 박사과정 3명, 석사과정 4명의 대학원생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 분야는 건설재료 / 건축물의 환경부하 저감/평가 기술 및 최적설계 기술 개발 분야이다.
Undergraduate programs associated with this lab has
본 연구실과 연관된 교과목으로 학부과정은 <건축개론>, <재료와 구법2>, <지속가능 건축 관리기술>이며, 대학원 과정은 <건축물 LCA 분석>, <내구성 설계 특론>, <콘크리트 내구성 특론> 이다.
FIELDS | RESEARCH TOPICS / 연구주제 |
---|---|
Construction environmental load reduction technology 건축물 환경부하 저감기술 |
-LCA DB for building materials -Low-carbon building materials development -Development of construction waste reduction and prediction technology -Construction waste recycling technology -건축재료 LCA DB 구축 -저 탄소 건축재료 개발 -건설 폐기물 저감 및 예측 기술 개발 -건설 폐기물 재활용 기술 개발 |
Construction environmental load assessment technology 건축물 환경부하 평가기술 |
-Development of building and building materials -LCA guideline Building/building materials LCA -Development of building and building materials -LCA program Development of concrete LCA program -건축재료/건축물 전 과정 평가 지침 개발 -건축재료/건축물 전 과정 평가 -건축재료/건축물 전 과정 평가 프로그램 개발 -콘크리트 전 과정 평가 프로그램 개발 |
Construction optimal design system technology 건축물 최적설계 시스템 기술 |
-Sustainable durability design technology for building -Development of futrue prediction system for concrete industry grafed with GIS technology -Development of constructuion life-cycle environmental load optimal design technology and program -친환경 내구설계 기술 개발 -GIS기술이 접목된 콘크리트 산업 환경부하 미래예측 시스템개발 -건축물 전 과정 환경부하 최적설계 기술 및 프로그램 개발 |
Sustainable Building and Construction Management Laboratory is studying 'Sustainable Construction', 'Construction Management and Project Delivery System', 'Facility Maintenance and Asset Management', 'Modular' and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which are important Agenda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t cooperates with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institutes and expert groups in various fields, including architecture, civil engineering, industrial engineering, and financial engineering, and strives for convergence research and practice-oriented research through multi-disciplinary academic exchanges, active joint research and multi-pronged approaches.
지속가능한 건축 및 건설관리 연구실은 최근 건설 산업에서 중요한 Agenda인 ‘지속가능한 건설’, ‘건설관리 및 프로젝트 발주방식’, ‘시설물 자산관리 및 유지관리’, ‘모듈러건축’,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을 연구하는 연구실이다. 건축, 토목, 산업공학, 금융공학 등 다양한 분야의 국내·외 연구소 및 전문가 그룹과 협업하며 다제간 학문적 교류, 활발한 공동연구 및 다각적 접근을 통한 융합 연구와 실무 중심의 연구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Undergraduate program : Building Construction and Structures, Construction Contract and Management, Project Planning and Schedule, Architectural Project Development, Architectural Engineering Practice and Project Management, Construction Cost Estimation
graduate program : Construction Management, Project Management System and Schedule Control
학부 : 건축시공 및 구법, 건설계약 및 관리, 건설공정관리 및 계획 , 건설프로젝트 개발론, 건축공학실무 및 프로젝트관리, 건축견적
대학원 : 건설경영, 프로젝트 관리체계 및 일정관리
FIELD | RESEARCH TOPICS / 연구주제 |
---|---|
Smart Contruction | -Advanced Project Delivery System such as IPD and CM at Risk -Project Consulting and Support to Execute Tasks -Deep Learning-based IoT Technology for the Automatic Control of Bio-responsive Air Conditioning -Deep learning-based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Construction Workers using Wearable Devices -IPD, CM at Risk 등의 선진 프로젝트 발주방식 연구 -프로젝트 컨설팅 및 업무 실행 지원 -생체 반응형 자동 공조 제어를 위한 딥러닝 기반 IoT 기술 개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딥러닝 기반 건설근로자 안전관리 시스템 개발 |
Modular Construction 모듈러 건축 |
- Modular Structure - Mid-to-high-rise Modular Building - Development of Design, Process Optimization and Energy Saving Technology for Zero Energy Modular Housing Considering Life Cycle - 모듈러 구조 - 중고층 모듈러 건축물 - 전 생애주기를 고려한 제로에너지 모듈러 주택을 위한 설계, 공정 최적화 및 에너지 절감 기술 개발 |
Sustainable Construction 지속가능한 건축 |
- Development of Optimal Model and Customized Integrated Platform for Low-Carbon Energy Efficiency Remodeling in Existing Buildings - Development of Modular Smart Envelope Package for Energy Saving - 기존 건축물 저탄소 에너지효율화 리모델링 최적 모델 및 맞춤형 통합 플랫폼 개발 - 에너지 절감을 위한 모듈연계형 스마트 외피 패키지 개발 |
Research interests of Steel Structures Lab. are seismic analysis and evaluation of various structural systems as well as experimental and analytical researches on steel and composite structural systems.
이 연구실에서는 구조시스템의 내진해석 및 평가, 강구조 및 복합구조시스템의 실험적 연구 및 해석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Undergraduate : Statics, Mechanics of Materials, Dynamics, Structural Analysis 1, Steel Design 1, Steel Design 2
Graduate : Prestressed Concrete Design
학부과정에서는 <정역학>, <재료역학>, <동역학>, <건축구조역학1>, <철골구조설계1>, <철골구조설계2>를 대학원 과정에서는
FIELDS | RESEARCH TOPICS / 연구주제 |
---|---|
Seismic Analysis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Structural Systems 구조시스템의 내진해석 및 내진성능평가 |
-Seismic analysis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steel ordinary and special moment resistant frame systems -Seismic analysis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cold-formed steel braced frame systems -Seismic analysis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structural systems with nonstructural components -Seismic analysis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structural systems with energy dissipation components -철골 특수 및 보통 모멘트 저항골조의 내진 해석 및 내진성능평가 -경량철골 중심가새골조의 내진해석 및 내진성능평가 -비구조 요소를 포함한 여러 가지 구조시스템의 내진해석 및 내진성능평가 -에너지소산장치를 포함한 구조시스템의 내진해석 및 내진성능평가 |
Experimental and Analytical Researches on Steel and Composite Structural Systems 강구조시스템과 복합구조시스템의 실험 및 해석적 연구 |
-Experimental and analytical researches on various steel moment resistant frame systems with various connection details. |
The Building Energy and Environment Research
Group (BEERG) is led by Dr. Minjae Shin, an Assistant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at Hanyang University ERICA. BEERG focuses on the building energy modeling
and performance simulation for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sustainable
buildings. This includes energy savings
calculation using energy modeling and simulation technologies, high-performance
building design, energy-efficient systems design, renewable energy systems
integration, emerging technologies for smart and healthy buildings, and
performance Measurement and Verification (M&V). The use of the technology
is to predict potential energy benefits from the early design phases through
the life of a building, which can help make optimal design/development
decisions in terms of energy efficiency, while maintaining the same or better
occupant comfort conditions at the same time.
건물에너지환경연구실은
한양대학교 에리카캠퍼스
건축공학과 신민재
교수에 의해
운영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건물에너지모델링과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한 지속가능한
건축물의 디자인과
개발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주요 연구
분야로는 건물
에너지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기술, 고성능 건물
디자인, 에너지 효율적인
설비시스템 설계, 신재생 에너지 시스템
통합, 스마트빌딩 및
재실자 중심의
건강하고 쾌적한
실내환경을 위한
기술 개발, 건물 에너지 성능
측정 및
검증을 통한
에너지 절약량
계산이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의 사용은
건물 초기
설계 단계에서
건물의 잠재적인
에너지 절약
가능성을 예측하는
것으로, 에너지 효율
측면에서 최적의
설계/개발을 위한
결정을 내리는데
도움을 주는
동시에 거주자에게
만족할 수
있는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Undergraduate courses: Architectural Environmental
Design, Building Equipment and System
Graduate courses: Intelligent HVAC System, Energy
Optimization in Building Design
학부 : 건축환경계획론, 건축설비시스템
대학원 : 지능형공조시스템, 건물에너지최적화디자인